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마인드tv 칼럼113

AI 시대 투자마인드, '기계는 계산하고 사람은 흔들린다' 투자 시장에서 인간과 AI의 가장 큰 차이는 속도도, 정보력도 아니다. 진짜 차이는 '기준'이다. AI는 오직 데이터와 알고리즘이라는 고정된 기준에 따라 계산하고, 그 기준이 맞으면 실행한다. 반면 인간은 기준이 매 순간 흔들린다. 상황에 따라, 감정에 따라, 뉴스에 따라 투자 기준이 유동적으로 바뀐다. 이 흔들림이야말로 인간 투자자가 겪는 가장 큰 불확실성이다. AI는 규칙 기반, 인간은 상황 기반AI는 명확한 수치를 기준으로 한다. 200일 이동평균선이 돌파되면 매수, 변동성이 특정 수치 이상이면 회피, RSI가 과매도 구간이면 진입. 이처럼 AI는 조건에 따라 냉정하고 일관되게 판단한다. 그리고 절대 예외를 두지 않는다. 하지만 인간은 예외를 만든다. 이동평균선이 돌파돼도 "지금은 예외일 거야", .. 2025. 6. 18.
AI 시대의 인간 투자자 – 어떤 마음가짐이 살아남을까? AI가 투자 전략을 만들고, 매수·매도도 자동화되는 시대.그렇다면, 사람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요?‘마음가짐’이야말로 인간 투자자의 생존력입니다.오늘은 인공지능의 시대를 살아가는 투자자로서,어떤 심리와 태도를 가져야 할지 함께 이야기해보겠습니다.AI가 대체할 수 없는 한 가지AI는 계산할 수는 있지만, 감정을 느끼진 못합니다.가치를 추구하진 않죠.사람만이 가진 것,그건 바로 ‘왜’라는 질문과 ‘의미’에 대한 감각입니다.AI는 수익률을 계산합니다.하지만 우리는‘이 종목을 왜 사는가’,‘이 전략은 나의 삶과 맞는가’라는 질문을 던집니다.투자에도 철학이 필요합니다.바로 이 철학이, AI 시대의 인간 투자자를 특별하게 만듭니다.변동성 앞에서 흔들리지 않는 마음투자의 가장 큰 적은 시장이 아닙니다.흔들리는 나의.. 2025. 6. 17.
AI는 언제 사고, 언제 팔까? – ETF에 적용되는 스마트 알고리즘의 비밀 인공지능이 투자 결정을 내리는 시대.그렇다면, AI는 언제 사서, 언제 파는가?그리고 그 판단은 ETF에는 어떻게 적용되고 있을까요?오늘은 스마트 알고리즘이 작동하는 방식과,우리가 인간 투자자로서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하는지를 이야기해보려 합니다.ETF 투자에 AI가 들어오면 생기는 일요즘 AI 기반의 ETF가 늘어나고 있습니다.대표적으로는 ‘스마트 베타 ETF’, ‘AI 퀀트 전략 ETF’ 등이 있죠.예를 들어,모멘텀을 기준으로 매수를 결정하는 ETF변동성을 피해서 자동 분산 투자하는 ETFAI가 종목을 선별하고 리밸런싱하는 자동화 전략 ETF이러한 ETF들은 인간처럼 고민하지 않습니다.정해진 수치, 알고리즘, 조건에 따라 자동 매매를 반복합니다.즉, 감정 없이 매수 타이밍과 매도 타이밍을 정확히 계산한.. 2025. 6. 17.
AI는 냉정하다, 사람은 흔들린다 – 왜 우리는 알고리즘보다 못 벌까? AI가 투자해서 돈을 벌고, 사람은 투자하다가 마음이 흔들린다.우리는 왜 알고리즘보다 못 버는 걸까요?그 이유는 명확합니다.AI는 냉정하지만, 우리는 흔들리는 존재이기 때문입니다.오늘은 그 '마음의 차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인간 투자자의 흔한 실수들사람은 매수 버튼을 누르기 전에 망설입니다.그리고 매도 버튼을 누를 땐 너무 서둘러요.왜 그럴까요?투자에 있어서 가장 큰 적은 시장이 아니라 '나의 감정'입니다.우리는 이런 실수를 자주 합니다.‘지금 안 사면 기회를 놓칠 것 같아’(FOMO)‘너무 떨어졌으니 지금이라도 팔자’(패닉셀)‘이번엔 제대로 몰빵하자’(보상심리)이런 실수들은 단기간에 몇십만 원, 몇백만 원의 손실로 이어지죠.그리고 그렇게 깨지고 나면, 투자가 아니라 도박처럼 느껴지게 됩니다... 2025. 6.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