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56 400만 돌파 작품 ‘0편’…한국 영화, 관객의 마음을 잃다 2025년 상반기 한국 영화계에 이상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바로 "400만 관객을 돌파한 한국 영화가 단 한 편도 없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단순한 성적표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이제는 산업 전반의 구조적 위기와 콘텐츠 경쟁력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야 할 때다.‘400만 돌파’라는 마지노선한국 영화계에서 400만 관객은 하나의 기준선이었다. 제작비를 회수하고 수익을 내기 위한 현실적 목표였고, ‘흥행 성공작’이라는 타이틀을 얻기 위한 상징적 수치이기도 했다. 하지만 2025년 상반기, 이 상징이 무너졌다. 한때는 계절별로 400만 관객을 넘는 영화가 연달아 나왔고, 천만 관객 작품이 매년 한두 편씩 탄생하던 시절도 있었다. 그런데 지금은 비수기가 아닌 상반기 전체에서 400만을 넘긴 작품이 ‘0편.. 2025. 6. 18. 다시 불붙는 KORU 열풍, 서학개미의 레버리지 선택은 옳았을까? 최근 글로벌 ETF 시장에서 주목받는 한 종목이 있다. 바로 미국에 상장된 ‘KORU’(Direxion Daily South Korea Bull 3X Shares) ETF다. 코스피 지수를 3배 추종하는 이 상품은 한국에는 존재하지 않는 구조이기에 오히려 미국 투자자, 특히 한국의 개인 투자자들에게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마치 K-POP처럼, 한국 시장에 대한 베팅이 역으로 해외에서 먼저 뜨거워지고 있는 셈이다.1. 코스피 반등, ‘KORU’의 질주에 불을 붙이다2024년 12월 대선을 기점으로 코스피는 눈에 띄는 반등을 시작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2025년 6월에만 1조 원 이상을 한국 주식에 투자하며 한국 증시에 대한 신뢰를 보여줬고, 그 중심에는 KORU ETF가 있었다. 올해만 무려 90%.. 2025. 6. 18. AI 시대 투자마인드, '기계는 계산하고 사람은 흔들린다' 투자 시장에서 인간과 AI의 가장 큰 차이는 속도도, 정보력도 아니다. 진짜 차이는 '기준'이다. AI는 오직 데이터와 알고리즘이라는 고정된 기준에 따라 계산하고, 그 기준이 맞으면 실행한다. 반면 인간은 기준이 매 순간 흔들린다. 상황에 따라, 감정에 따라, 뉴스에 따라 투자 기준이 유동적으로 바뀐다. 이 흔들림이야말로 인간 투자자가 겪는 가장 큰 불확실성이다. AI는 규칙 기반, 인간은 상황 기반AI는 명확한 수치를 기준으로 한다. 200일 이동평균선이 돌파되면 매수, 변동성이 특정 수치 이상이면 회피, RSI가 과매도 구간이면 진입. 이처럼 AI는 조건에 따라 냉정하고 일관되게 판단한다. 그리고 절대 예외를 두지 않는다. 하지만 인간은 예외를 만든다. 이동평균선이 돌파돼도 "지금은 예외일 거야", .. 2025. 6. 18. AI 시대의 인간 투자자 – 어떤 마음가짐이 살아남을까? AI가 투자 전략을 만들고, 매수·매도도 자동화되는 시대.그렇다면, 사람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요?‘마음가짐’이야말로 인간 투자자의 생존력입니다.오늘은 인공지능의 시대를 살아가는 투자자로서,어떤 심리와 태도를 가져야 할지 함께 이야기해보겠습니다.AI가 대체할 수 없는 한 가지AI는 계산할 수는 있지만, 감정을 느끼진 못합니다.가치를 추구하진 않죠.사람만이 가진 것,그건 바로 ‘왜’라는 질문과 ‘의미’에 대한 감각입니다.AI는 수익률을 계산합니다.하지만 우리는‘이 종목을 왜 사는가’,‘이 전략은 나의 삶과 맞는가’라는 질문을 던집니다.투자에도 철학이 필요합니다.바로 이 철학이, AI 시대의 인간 투자자를 특별하게 만듭니다.변동성 앞에서 흔들리지 않는 마음투자의 가장 큰 적은 시장이 아닙니다.흔들리는 나의.. 2025. 6. 17.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3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