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상현 칼럼231 “밥은 먹고 살아요?” 기적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사법연수원 수료식. 연수생들을 위한 특강 자리에 한 인권 변호사가 초청되었다. 그는 부산상고 졸업 후 토굴에 들어가 5~6년을 홀로 공부해 사법시험에 합격한 변호사였다. 바로 ‘노무현’. 그는 연단 위에서 자신의 과거를 털어놓았다.“변호사가 되자마자 돈을 벌고 싶었습니다. 부산 내려가서 돈을 긁어모았죠. 요트도 샀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김광일 변호사님이 부산대학교 학생 사건을 맡아보라고 하셨어요. 그 대학생들, 고문을 당하고 있더라고요.” 그는 말한다.“돈은 못 벌지만, 이렇게 사람을 지키며 사는 일이 정말 보람이 있더라고요.”그 순간, 한 연수생이 손을 들고 물었다.“선배님, 그럼 밥은 먹고 사세요?”노무현은 미소를 머금고 답했다.“밥은 먹고 살지.” 그 대답 하나에 질문자는 인생이 바뀌었다. 그날.. 2025. 7. 20. 연애는 환상이어도 되지만 결혼은 현실이다 연애할 때 멋져 보이는 상대를 만나는 건 분명 행운이다. 하지만 생각해보자. 그 멋진 모습이 결혼생활에서도 계속된다면? 춤추는 걸 좋아하고, 술자리를 좋아하고, 친구들과 어울리는 걸 좋아하고, 다양한 취미활동을 좋아하며, 다른 사람들을 도와주는 걸 좋아한다. 연애 시절엔 이런 모습이 매력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결혼은 다르다. 가족 안에서 그 모든 걸 그대로 유지할 수는 없다. 결혼은 포기의 예술이라고 한다. 내가 좋아하는 것 중 가족을 위해 내려놓아야 할 것이 생긴다. 시간도, 취미도, 인간관계도 조금씩 조율해야 한다. 그게 결혼의 현실이다. 결혼은 환상으로 접근하면 정말 힘들어진다. 긴 시간 동안 함께할 수 있는지를 차분히 들여다봐야 한다. 내가 포기하지 못하는 것이 많다면, 결혼은 하.. 2025. 7. 18. 31.8조 원 추경안 통과, 투자자에게 어떤 의미가 있나 1. 국회 통과된 ‘31.8조 원’의 확장 재정2025년 7월 5일, 국회는 31조 8,000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을 공식 통과시켰다. 이는 정부가 연초부터 천명해온 확장적 재정 기조가 본격화된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이번 추경안은 단순한 경기부양을 넘어 ‘현금 지급’, ‘소비 진작’, ‘AI 인프라 투자’ 등 정부가 그리는 중장기 정책 방향성과 맞닿아 있다. 특히 고물가·고금리·저성장이라는 복합경제 위기에 대응해, 실질적인 경제 활력을 끌어올리겠다는 정부 의지가 분명히 담겨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2. 추경안의 주요 내용과 구성이번 추경의 핵심은 총 세 가지 축으로 나뉜다. 첫째, 12조 원 규모의 전 국민 현금성 지원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소비심리를 빠르게 회복시키기 위한 단기 처방으.. 2025. 7. 7. 나는 정말 선택했는가, 선택된 것을 선택했다고 착각하는 우리 진정 내가 선택한 것은 무엇일까.삶에서 했던 수많은 선택들—학교, 직장, 결혼, 투자, 관계…그 중 얼마나 내가 스스로 결정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그리고 그 판단은 과연 내 진심에서 비롯된 것이었을까. 어쩌면 우리는이미 선택되어진 것을 마치 내가 선택한 것처럼 착각하며 살아가는지도 모른다.무의식 속에서 ‘당연한 흐름’처럼 받아들인 결정들.그건 과연 내 의지였을까?타인의 기대와 시대의 기준이 만든 틀 안에서가장 덜 불안한 선택이었을까? 스스로 선택했다고 믿었던 순간들이사실은 선택받은 길을 따라간 결과였다면,이제는 다시 물어야 할 때다. “이건 내가 정말 원하는 삶인가?” 2025. 7. 6.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5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