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인드tv 칼럼

표현력을 기르는 가장 현실적인 루틴 '발표불안 해결방법'

by 마인드TV 2025. 6. 15.
728x90
반응형
SMALL

표현력을 기르는 가장 현실적인 루틴 '발표불안 해결방법'

 
나는 평소 말을 잘하는 사람을 보면 글도 잘 쓸 것 같고, 글을 잘 쓰는 사람은 말을 정리해서 잘할 것 같다는 인상을 받는다. 경험에서 나온 내 생각이다. 그래서 나는 중요한 발표나 인터뷰, 강의가 있을 때 먼저 글을 쓴다. 생각을 글로 정리하고, 그것을 여러 번 소리 내어 읽는다. 읽으면서 부자연스러운 문장을 줄이고, 나의 말투에 더 가까운 표현으로 바꾼다. 그러면 글도 살아나고, 말도 자연스러워진다.
이렇게 말과 글을 오가며 다듬다 보면, 글이 단단해지고 말은 유연해진다. 처음에는 '이걸 꼭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싶을 때도 있었지만, 몇 번 해보니 확실히 내 사고가 명확해지고 표현도 좋아졌다.
사실 우리는 말할 때 순식간에 판단하고, 선택하고, 표현해야 한다. 하지만 글을 쓸 때는 잠깐 멈추고 생각할 수 있다. 말은 즉흥적인 표현 방식이라면, 글은 신중한 표현 방식이다. 말하기 전에 글을 써보면, 말할 때 덜 흔들린다. 반대로, 말로 먼저 풀어낸 다음 그것을 글로 정리해보면 글이 더 나다운 문장으로 표현된다.
말과 글은 서로를 보완해주는 관계다. 글쓰기는 나의 생각 정리 능력을 키워주고, 말하기는 나의 즉각 표현 능력을 키워준다. 둘 중 하나만 잘하려 하지 말고, 글을 쓰고, 읽고, 말하고, 다시 다듬는 루틴을 만든다면 누구든지 생각을 말로, 마음을 글로 표현하는 사람이 될 수 있다.
나는 여전히 발표를 앞두고 긴장도 하고, 어떤 날은 글이 잘 안 써지기도 하지만 그래도 꾸준히 이 루틴을 이어간다. 말과 글은 결국 나 자신을 이해하는 통로이고, 세상과 연결되는 다리이기 때문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