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인드tv 칼럼

투자는 돈 공부일까, 마음공부일까?

by 마인드TV 2025. 6. 30.
728x90
반응형
SMALL
“투자는 돈에 관한 기술일까, 마음에 관한 태도일까?”
 
나는 꽤 오랜 시간 이 질문을 품고 있었다. 투자를 처음 시작했을 때는 돈을 불리는 법, 수익률을 올리는 전략, 타이밍을 보는 법과 같은 '기술'이 중요한 줄 알았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돈보다 더 중요한 것이 보였다. 바로 '내 마음'이다.
 
주식은 숫자로 반응하고, 사람은 감정으로 반응한다. 우린 주가가 오르면 기뻐하고, 내려가면 불안해진다. 다른 사람의 수익이 났다는 소식을 들으면 나도 뭔가 해야 할 것 같아 흥분된다. 하지만 막상 투자의 기회가 되는 하락장에선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
 
돈의 흐름을 읽기 전에 내 마음의 흐름부터 읽어야 한다. 투자라는 건 결국 내 감정을 다루는 훈련이다. 욕망과 두려움, 조급함과 후회, 회피와 탐욕. 이 모든 감정을 잘 다루는 사람만이 꾸준히 투자할 수 있다.
 
나는 이걸 '마음공부'라 부른다. 그래서 요즘은 투자를 공부한다기보다 나를 공부한다고 생각한다. 투자는 마음을 들여다보는 거울일 뿐이다. 동시에 삶을 조율하는 훈련법의 하나다. 돈은 수단일 뿐이다. 우리가 지켜야 할 진짜 목표는 '돈 앞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나'를 만들어가는 일이다.
 
숫자보다 중요한 건 태도
 
“돈 앞에서는 나도 낯설어진다.”
평소에는 침착한 사람인데, 주식 계좌만 열면 마음이 조급해진다. 수익이 조금만 나도 팔고 싶고, 손실이 생기면 허둥댄다. 이상하다. 알고 보면 몇 만 원, 몇 십만 원 차이일 뿐인데 감정의 파도는 폭풍처럼 거세다.
 
돈은 숫자가 아니라 감정의 스위치다. 우리는 돈 앞에서 감춰졌던 욕망과 두려움을 마주하게 된다. 수익률 -5%에 마음이 무너지는 건, 단지 숫자가 아니라 ‘나는 왜 늘 안 풀릴까’라는 내면의 신념이 흔들리기 때문이다. 남들보다 적게 벌고 있다는 생각은, ‘나는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라는 오래된 자기 판단을 자극한다.
 
그러니 돈 앞에서 흔들리는 건 당연하다. 돈은 우리가 품고 있는 ‘자기 인식’을 그대로 드러내는 거울이니까.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돈을 대하는 내 태도를 돌아보자. 돈이 주는 감정의 기복을 관찰하자.
 
"나의 두려움은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내가 원하는 건 ‘돈’일까? 아니면 그 돈이 줄 것이라 믿는 ‘안정감’일까?"
 
투자는 돈을 불리는 기술이 아니라 돈에 휘둘리지 않는 나를 세우는 훈련이다. 돈 앞에서 흔들리지 않으려면 먼저 ‘나’를 흔들리지 않게 붙드는 연습이 먼저일 것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