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상현 칼럼231

이재명-트럼프 첫 통화, 한미 통상에 불꽃이 튀다 “미국은 보호무역을 강화할 수 있고, 한국은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다.”이 간단한 문장이 지금 한미 간 통상 협상이 얼마나 민감한지 단적으로 보여준다. 6월 6일 저녁,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정상통화를 가졌다. 이 통화는 단순한 인사 수준을 넘어, 핵심 현안인 ‘관세 협상’ 문제를 정면으로 다뤘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특히 트럼프 특유의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기조가 재등장하면서, 국내 수출 기업과 투자자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관세는 무기다”… 다시 돌아온 트럼프 스타일트럼프는 예나 지금이나 변하지 않았다. ‘무역은 협상이 아니라 전쟁’이라는 사고방식으로 무장한 그는 취임 일성부터 동맹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 관세 칼날을 들이댔다. 20.. 2025. 6. 7.
이재명 대통령의 리더십 스타일과 기대 효과 2025년 6월,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으로 취임했습니다. 누구보다 뜨거운 정치 여정을 걸어왔고, 누구보다 많은 논쟁과 기대를 동시에 받아온 리더입니다. 그렇다면 이제 묻고 싶습니다.“이재명이라는 리더는 어떤 스타일이고, 우리는 그에게서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가?” 1. 이재명 리더십의 3대 특징① 현장형 리더십 – 사무실보다 거리에서 일하는 스타일이재명 대통령의 리더십은 현장 중심입니다. 성남시장, 경기도지사 시절 그는 회의실보다 거리, 시장, 복지관에 더 자주 있었습니다. 직접 보고, 듣고, 판단하는 방식은 ‘책상에서 머리 굴리는 정치’와의 차별점이었습니다.“보고서가 아니라 시민의 목소리에서 답을 찾는다.”이 말은 단순한 수사가 아니라, 그의 업무 철학을 보여줍니다.② 속도와 실행 .. 2025. 6. 6.
35조 원 추경, 진짜 민생을 위한 재정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2025년 6월, 이재명 정부가 출범과 동시에 35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정권 교체 직후라는 시점도 놀랍지만, 그보다 더 주목할 것은 이 조치가 내건 명분입니다. “민생 회복”이라는 말은 정치권에서 수없이 쓰여 왔지만, 이번에는 꽤 구체적입니다. 침체된 소비, 인플레이션, 지역 경제의 고사 위기—이런 현실 앞에서 재정 투입은 ‘선택’이 아니라 ‘의무’에 가까워 보입니다. 왜 지금 추경인가?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직후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이 추경을 내수 진작과 경제 심리 회복의 기폭제로 삼겠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그는 이미 성남시장, 경기도지사 시절부터 재정은 쓸 줄 알아야 한다는 철학을 실천해온 인물입니다. ‘재정 건전성’이라는 말이 무작정 예산을.. 2025. 6. 6.
현충일, 어디 가세요? 가족과 꼭 가봐야 할 의미 있는 하루 코스 6월 6일 현충일.우리는 이 날을 단지 공휴일로 지나치곤 합니다.하지만 누군가의 희생이 있었기에 지금의 일상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아이와 함께,가족과 함께 곱씹어보는 하루는 생각보다 깊고 오래 남습니다.이번 현충일,단지 '쉼'이 아닌 '기억'과 '공감'이 있는 나들이를 계획해보는 건 어떨까요? 현충일의 의미와 역사현충일(顯忠日)은 '충렬을 드러내는 날'이라는 뜻으로 매년 6월 6일 민족과 국가의 수호 및 발전에 기여하고 국가를 위해 희생되거나 목숨을 바친 사람들을 애도하는 날이자 모든 이들의 충성을 기념하기 위한 법정공휴일이다. 6월이 호국 보훈의 달이라 불리는 이유 중 하나며 6월의 꽃이라 불린다. 법정공휴일이기는 하지만 국경일이 아닌 국가 추념일이다. 국경일은 풀이하면 '국가의 경사스러운 날'로 축일에.. 2025. 6.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