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야심차게 내놓은 한강버스가 출범 열흘 만에 멈춰 섰다. ‘한강 르네상스’라는 이름으로 포장됐지만, 방향타 고장·전기 계통 이상·화장실 역류 등 잇단 문제는 준비 부족을 드러냈다. 무엇보다 시민 안전을 담보하지 못한 채 운항을 강행한 점에서 비판은 피하기 어렵다.
대중교통은 무엇보다 안정성과 신뢰가 전제돼야 한다. 그러나 이번 사업은 충분한 검증과 시험운항 없이 졸속 추진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선박 일부는 정식 운항 이틀 전에서야 강에 도착했고, 기상·수위 변화에 대응할 체계도 미비했다. 서울시가 6개월 테스트를 거쳤다고 하지만 실제 운영 여건을 반영한 시험은 부족했다는 게 드러났다.
실효성 논란도 거세다. 이동 수요보다는 관광 수요에 맞춰 설계된 탓에, 정체된 도로를 대체할 대중교통 역할에는 한계가 뚜렷하다. 하루 6천 명이 이용해도 적자를 피하기 어렵다는 분석까지 나온다. 결국 시민 세금이 투입되는 만큼 수요 예측과 노선 설계부터 다시 따져봐야 한다.
이제 필요한 것은 책임 규명과 제도 개선이다. 서울시는 단순한 사과로 그칠 게 아니라, 왜 이런 문제가 발생했는지 명확히 밝혀야 한다. 안전 관리 체계를 정비하고, 탑승객 신분 확인 절차나 비상 대응 매뉴얼 같은 기본 장치부터 마련해야 한다. 시민의 불안을 해소하지 못한다면 한강버스는 ‘세금 먹는 하마’라는 비판에서 벗어날 수 없다.
한강을 새로운 교통축으로 활용하겠다는 비전 자체는 나쁘지 않다. 그러나 그 비전이 실현되려면 상징보다 신뢰가 먼저다. 실패의 경험을 겸허히 인정하고, 철저한 개선을 통해 시민의 발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것이 진정으로 책임 있는 행정의 자세다.
#한강버스중단 #오세훈시장 #책임규명 #검증부족
'마인드tv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후 준비, 왜 주식 투자인가 (0) | 2025.09.30 |
---|---|
[사설] 디지털 정부 허점 드러낸 국정자원 화재, 근본적 책임과 혁신이 답이다 (0) | 2025.09.30 |
토트넘이 잃어버린 보석, 손흥민 (1) | 2025.09.29 |
현실과 영화 속 야구 혁신 서사, 《머니볼》과 《스토브리그》의 만남 (1) | 2025.09.28 |
100세 시대 재산(돈)보다 중요한 3가지 능력은 무엇일까? (2) | 2025.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