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 우리는 평균 수명이 길어지는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래 산다고 다 행복할까요? 오늘은 100세 시대에 정말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지, 부모로서 자식에게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 그리고 우리가 노후에 꼭 준비해야 할 세 가지를 이야기하겠습니다.
첫 번째 능력: 경제관념
우리나라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학교 공부만 강조합니다. 하지만 저는 "경제 공부를 꼭 시켜라." 이렇게 말하고 싶습니다. 아무리 좋은 직업, 많은 연봉을 받아도 경제관념이 없으면 미래가 없습니다. 직업보다 더 중요한 건 돈이 들어올 때 어떻게 관리하고 불릴 수 있느냐입니다.
투자의 본질은 '돈이 돈을 벌게 만드는 습관'을 만드는 것입니다. "꾸준히 투자하면 복리의 힘이 쌓여 언젠가 자녀가 큰 부를 이루게 된다"는 메시지입니다. 여러분은 자녀에게 용돈을 줄 때, 그냥 쓰라고만 하시나요? 아니면 그 돈으로 투자하고 기록하는 법을 가르치시나요?
두 번째 능력: 건강과 열정
제가 생각하는 노후 준비의 첫 번째는 건강입니다. 돈보다 건강이 먼저입니다. 제 생각에는 운동보다 중요한 게 '식단'입니다. 좋은 재료를 가지고 좋은 음식을 만들어 먹는 습관이죠. 그다음이 운동입니다. 거창한 운동보다 걷기, 산책, 그리고 집안일 등 몸을 자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몸 쓰는 게 귀찮다는 생각이 들지 않게 자주 움직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두 번째는 취미나 적성에 맞는 일을 평생 하는 것입니다. 100세 시대는 길게 보면 40년 이상 노후를 살아야 합니다. ‘재수 없으면 100세까지 살아야 한다’는 말처럼, 재미와 의미 없는 삶은 너무 길고 지루합니다. 즐거운 취미, 의미 있는 일이 있어야 은퇴 이후에도 활력이 생깁니다.
저는 투자와 인생을 이야기하는 글쓰기가 취미이자 일입니다. 그렇게 만든 콘텐츠를 유튜브 영상에 올리고, 브런치나 블로그에 글을 올립니다. 그런 글이 많이 모이면 책으로 출간하기도 합니다. 건강이 허락되는 한 이 일을 계속하고 싶어요.
세 번째 능력: 현금흐름
많은 사람들이 착각합니다. 재산이 많으면 노후가 든든할 거라고요.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현금흐름입니다. 강남 아파트 30억, 50억이 있어도 생활비가 넉넉하지 않으면 자산이 나를 먹여 살리지 못합니다. 종부세 낼 돈도 없으면 무슨 의미일까요?
진짜 노후 준비의 핵심은 매달 들어오는 현금입니다. 현금흐름의 개념을 모르면 엉뚱한 재산만 늘리다 결국 생활비 걱정에 시달리게 됩니다. 자산은 나에게 이익을 주는 것이고, 부채는 나에게 지출을 주는 것임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두 식구 최저 생활비는 월 278만 원이고, 물가상승률 2~3%라면 100세까지 약 20억 원이 필요합니다. 20억만 생각하면 정말 막막하시죠? 그런데 현금흐름이 있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오히려 시간이 지날수록 돈이 쌓이는 구조가 됩니다.
마무리
100세 시대에 진짜 필요한 능력은 세 가지입니다. 첫째, 경제관념. 아이들에게 경제를 가르쳐야 합니다. 둘째, 건강과 열정. 오래 살아도 가슴 뛰는 무언가가 있어야 합니다. 셋째, 현금흐름. 재산이 아니라 매달 들어오는 생활비 구조가 노후를 지켜줍니다.
여러분, 돈은 기술이 아니라 태도입니다. 그리고 노후는 재산이 아니라 현금흐름에서 결정됩니다. 오늘부터 작은 습관을 바꿔보세요. 그것이 100세 시대를 살아갈 가장 큰 힘이 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재산보다 중요한 3가지 능력”이었습니다.
'마인드tv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실과 영화 속 야구 혁신 서사, 《머니볼》과 《스토브리그》의 만남 (0) | 2025.09.28 |
---|---|
능력보다 중요한 당당함 (0) | 2025.09.27 |
능력보다 중요한 건 바로 '당당함' (2) | 2025.09.27 |
25년 만의 재회가 주는 울림, 박찬욱과 이병헌의 신작 《어쩔수가없다》 (0) | 2025.09.26 |
민생회복 지원금 2차 제외, 그러나 웃을 수 있었다 (1) | 2025.09.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