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영화 후기124

《곡성(곽도원,황정민,천우희,나홍진 감독)》 – 믿음과 의심, 구원의 경계에 선 인간 《곡성》 – 믿음과 의심, 구원의 경계에 선 인간줄거리 핵심조용한 시골 마을 곡성에서 정체 모를 연쇄 살인과 발광 사건이 발생한다.주인공 경찰 종구(곽도원)는 사건을 파헤치지만, 모든 단서가 모호하고 서로 모순된다.외지인(쿠니무라 준), 무속인 일광(황정민), 여인 무명(천우희)의 존재가 얽히면서 이야기는 점점 혼란스러운 미궁으로 빠져든다.영화는 끝까지 선과 악, 진실과 거짓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으며, 관객에게 불편한 질문을 남긴다.불안의 연출나홍진 감독은 전작 《추격자》, 《황해》에서 보여준 리얼리즘을 넘어, 《곡성》에서는 공포와 종교적 상징을 결합했다.장시간 이어지는 굿 장면, 음습한 숲, 빗속의 광기 어린 장면 등은 시청각적으로 극한의 불안감을 조성한다.결말에 이르러서도 “무엇이 진실인가”는 끝내 .. 2025. 8. 27.
《숨바꼭질(손현주,문정희,허정 감독)》 – 집이라는 공간에 숨어든 공포 《숨바꼭질》 – 집이라는 공간에 숨어든 공포줄거리 핵심겉보기에는 평범한 가정의 아파트, 그러나 그곳에 정체 모를 침입자가 숨어 살고 있다는 설정에서 영화는 시작된다.주인공 성수(손현주)는 성공한 사업가로, 아파트 관리소에서 벌어진 이상한 사건을 접한다.동생과 관련된 단서를 찾기 위해 아파트를 조사하던 그는, 문패에 새겨진 이상한 기호와 주민들의 실종 사건을 마주하게 된다.그리고 그 모든 것의 배후에는 “남의 집에 숨어 사는 자들”이라는 섬뜩한 진실이 도사리고 있다.집이 주는 불안《숨바꼭질》은 ‘가장 안전해야 할 집이 가장 위험한 공간이 된다’는 역설로 공포를 만든다.아파트라는 공간은 한국 사회의 보편적인 주거 형태이지만, 동시에 익명성과 폐쇄성을 가진다.영화는 이 특성을 활용해, 바로 옆집에서 벌어지는 .. 2025. 8. 27.
《기억의 밤(강하늘,김무열,장항준 감독)》 – 잃어버린 기억과 진실의 미궁 《기억의 밤》 – 잃어버린 기억과 진실의 미궁줄거리 핵심영화는 새 집으로 이사 온 형제 진석(강하늘)과 유석(김무열)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어느 날 유석이 의문의 납치를 당한 뒤 며칠 만에 돌아오지만, 그 후로 형 진석은 형의 태도에서 낯선 기운을 감지한다.기억을 잃은 듯한 형의 행동밤마다 들려오는 괴이한 소리현실과 환상이 뒤섞이는 진석의 불안영화는 **‘누가 진짜를 말하고 있는가’**라는 질문 속에서 관객을 끝까지 혼란스럽게 만든다.미스터리와 반전《기억의 밤》의 가장 큰 매력은 반전 구조다. 진석의 시선을 따라가며 모든 사건을 의심하게 만들다가, 후반부에 이르면 사건의 진실이 드러난다. 영화는 심리 스릴러와 미스터리를 교묘하게 엮어 관객을 끝내 충격 속에 빠뜨린다.배우들의 연기강하늘(진석 역): 점차 .. 2025. 8. 27.
《소년심판(김혜수,김무열)》 – 법과 제도의 균열을 드러내는 사회적 법정극 (넷플릭스) 《소년심판》 – 법과 제도의 균열을 드러내는 사회적 법정극1. 문제의식: 왜 ‘소년범죄’인가《소년심판》은 한국 드라마가 쉽게 다루지 않던 영역, 곧 소년범죄와 소년법을 전면에 내세웠다. 청소년 범죄는 매번 사회적 분노를 불러일으키지만, 동시에 ‘미성년자’라는 이유로 형사 책임 능력의 한계와 보호처분의 논란이 따라붙는다. 드라마는 바로 이 지점에서 출발한다. 단순히 범죄 사건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법과 제도의 균열을 드러내고, 소년범죄를 둘러싼 사회적 책임을 성찰하게 만든다.2. 캐릭터를 통한 가치관 대립작품은 두 명의 판사를 대비시켜 문제를 입체적으로 조망한다.심은석 판사(김혜수): “소년범을 증오한다”고 말하며 가혹한 현실을 직시하는 인물. 피해자 중심의 사고를 대변한다.차태주 판사(김무열): 소년.. 2025. 8.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