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죽기전 봐야할 영화

《곡성(곽도원,황정민,천우희,나홍진 감독)》 – 믿음과 의심, 구원의 경계에 선 인간

by 마인드TV 2025. 8. 27.
728x90
반응형

《곡성》 – 믿음과 의심, 구원의 경계에 선 인간


줄거리 핵심

조용한 시골 마을 곡성에서 정체 모를 연쇄 살인과 발광 사건이 발생한다.

  • 주인공 경찰 종구(곽도원)는 사건을 파헤치지만, 모든 단서가 모호하고 서로 모순된다.
  • 외지인(쿠니무라 준), 무속인 일광(황정민), 여인 무명(천우희)의 존재가 얽히면서 이야기는 점점 혼란스러운 미궁으로 빠져든다.
  • 영화는 끝까지 선과 악, 진실과 거짓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으며, 관객에게 불편한 질문을 남긴다.

불안의 연출

나홍진 감독은 전작 《추격자》, 《황해》에서 보여준 리얼리즘을 넘어, 《곡성》에서는 공포와 종교적 상징을 결합했다.

  • 장시간 이어지는 굿 장면, 음습한 숲, 빗속의 광기 어린 장면 등은 시청각적으로 극한의 불안감을 조성한다.
  • 결말에 이르러서도 “무엇이 진실인가”는 끝내 모호하게 남는다.

배우들의 열연

  • 곽도원: 무능하고 평범한 시골 경찰이 아버지로서 절망에 빠지는 과정을 설득력 있게 그려냈다.
  • 황정민: 무속인 일광으로 등장해 강렬한 카리스마와 모호한 태도로 영화 전체의 긴장을 지탱했다.
  • 천우희: 신비한 여인 무명으로 출연해 관객을 끝까지 혼란스럽게 만드는 존재감을 보여줬다.
  • 쿠니무라 준: 외지인 역할로, 공포와 미스터리의 중심에 서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종교와 상징

《곡성》은 단순한 스릴러가 아니라, 기독교적 구원·악마적 존재·민속 신앙이 뒤섞인 작품이다.

  • 무속과 기독교의 충돌은 한국적 맥락에서 신앙의 복잡성을 드러낸다.
  • 외지인의 정체가 악마인지, 단순한 희생양인지 모호하게 남기며, 믿음과 의심의 경계를 끝까지 흔든다.

메시지

《곡성》이 남긴 가장 큰 질문은 이것이다.

  • “무엇을 믿을 것인가?”
  • “믿음은 인간을 구원하는가, 아니면 파멸시키는가?”

영화는 명확한 답을 주지 않는다. 오히려 불확실성과 모호함을 끝까지 유지하며, 관객 스스로 선택하게 만든다. 이것이 《곡성》이 오랫동안 회자되는 이유다.


https://www.youtube.com/watch?v=GS1be_pAjZQ

 

#곡성 #나홍진감독 #곽도원 #황정민 #천우희 #쿠니무라준 #한국스릴러 #공포영화 #종교상징 #믿음과의심 #영화칼럼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