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59

글을 쓸까 말까 고민될 때 꺼내는 문장, 글쓰기 노하우 글을 쓸까 말까 고민되는 날이 있다. 글감이 떠오르지 않거나, 마음이 복잡하다. “이걸 굳이 써야 하나?” 싶은 생각이 들 때도 있다. 이럴 때 대부분의 사람은 결국 쓰지 않는다. 하지만 그 순간이야말로 글을 써야 할 이유가 내 안에 존재하는 순간이다. 혼란스러운 감정, 애매한 생각, 이유 모를 무기력… 이런 것들이 쌓이면 삶은 흐릿해지고, 생각은 점점 복잡해지며, 결국 나 자신과 멀어진다. 그럴 때 나는 한 문장을 마음에서 꺼낸다. “지금 이 마음 그대로 써보자.” 무언가 대단한 글을 써야 한다는 압박을 내려놓는다. 지금 내 안에 있는 감정, 생각, 떠도는 느낌을 그대로를 종이에 옮긴다. 마치 받아쓰는 것에 가깝다. 글을 쓰지 못 할 때는 대개 ‘잘 쓰려는 마음’이 문제지, ‘쓸 말이 없어서’가 아니다.. 2025. 6. 24.
『조 블랙의 사랑』 리뷰: 죽음이 인간을 사랑할 때, 우리는 진짜 삶을 배운다 1. 영화보다 느린 영화, 그런데 그 느림이 아름답다두 남녀 주인공의 사랑스런 모습을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만점 주고 싶은 영화 『조 블랙의 사랑』. 이 영화는 평범한 로맨스 영화가 아니다. 느리다. 침묵이 길고, 대사 하나하나가 마치 무대 위의 시처럼 배치된다. 하지만 그 느림은 불편함이 아닌 여운이다. 이 영화는 속도를 줄임으로써, 우리가 미처 보지 못한 감정들을 정면으로 보여준다. 그리고 그것은 결국 삶과 죽음, 사랑과 이별의 본질을 정직하게 마주하게 만든다.2. 줄거리 요약 – 사랑을 배운 죽음, 삶을 마주한 인간주인공 윌리엄 패리시(안소니 홉킨스)는 성공한 미디어 재벌로, 65세 생일을 앞두고 있다. 그는 가슴 통증을 느끼며 죽음이 다가오고 있음을 예감한다. 그리고 그에게 ‘죽음’이 찾아온다. 죽.. 2025. 6. 24.
한명석 작가의 신간 에세이 『엄마에게 가는 길』을 읽고 "엄마에게 가는 길, 나에게 돌아오는 길"책을 읽는 동안 여러 번 마음을 내려놓았다. 한 달 전 1년간 모신 장모님을 장인어른 곁으로 보내드린 것이 한몫했다. 울컥함보다 고요함이 더 컸다. 한명석 작가의 글은 감정을 쥐어짜지도, 슬픔을 과장하지도 않는다. 담담한 고백이 담겨있다. 『엄마에게 가는 길』은 알츠하이머 판정받은 엄마의 마지막 시간을 함께한 기록이다. 이 책은 한 노모의 투병기가 아니다. 엄마라는 삶 이전에 내 삶을 살아보자는 다짐과 같은 글이다. “엄마를 버렸다는 죄책감에서 면죄 받고, 편안함이 나를 적시던 경험이 꼭 마법 같았다.”“그 대답은 엄마에게 '자기'가 없기 때문이었다.” 이런 문장들은 ‘나는 어떤 자식이었는가’보다 ‘나는 어떤 인간인가’라는 질문으로 다가왔다. 누구나 ‘엄마’라는 .. 2025. 6. 23.
감사함에서 시작하는 글쓰기 가끔 사람들이 묻는다. “어떻게 그런 글을 매일 쓸 수 있느냐?”라고. 나는 잠시 생각한다. ‘나는 왜 이런 글을 쓰는 걸까? 왜 이런 주제를 고르고, 왜 이런 방향으로 써 내려가는 걸까?’ 내 글쓰기는 잘 써야겠다는 마음에서 시작되지 않는다. 그보다 훨씬 더 단순하고 소박한 마음에서 시작된다. 바로 감사함이다. 지금 이 순간 글을 쓸 수 있는 것에 감사한다. 생각을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는 지금의 나에게 감사하고, 하루를 돌아볼 수 있는 마음의 여유가 있음에 고마움을 느낀다. 먹을 수 있는 것, 걸을 수 있는 것, 팔을 움직일 수 있는 것, 사랑하는 가족이 곁에 있다는 것, 그리고 그들이 건강하다는 것. 그 모든 일상이 내 글의 출발점이다. 내가 진심으로 고마워하는 것들을 바라보면 그 감정은 자연스럽게.. 2025. 6.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