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국내 상장 ETF를 활용한 연금저축 & ISA 계좌 투자법
미국 주식에 투자하면서 절세 혜택까지 노리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국내 상장 ETF + 세제혜택 계좌(연금저축, ISA)의 조합입니다. 다음은 각 계좌별 특징과 실전 전략입니다.
✅ 1. 연금저축계좌 + 국내 상장 ETF
연금저축펀드에 ETF를 담는 이유?
항목
|
설명
|
세액공제
|
연간 600만 원 납입 시 최대 99만 원 환급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
과세이연
|
ETF 매매차익/배당에 대해 과세 없음. 연금 수령 시 3.3~5.5% 분리과세
|
ETF 운용
|
국내 상장 ETF는 원화로 거래 + TR형 ETF 선택 시 복리효과 ↑
|
예시 포트폴리오 (연금저축 전용)
-
40%: KODEX 미국S&P500TR
-
50%: KODEX 미국나스닥100TR
-
10%: KODEX 미국배당프리미엄 ETF
📌 포인트:
-
배당 자동 재투자(TR) ETF를 활용해 복리 효과 누적
-
장기 보유 전제, 리밸런싱 최소화
✅ 2. ISA 계좌 + 국내 상장 ETF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의 강점은?
항목
|
설명
|
비과세 한도
|
ETF 매매차익/배당소득 200~400만 원까지 비과세
|
계좌 자유도
|
ETF, 펀드, 예금 등 다양한 상품 운용 가능
|
운용 목적
|
단기~중기 투자에 적합, 절세 + 수익 추구 병행
|
추천 ETF 구성 (ISA 계좌용)
-
S&P500: TIGER 미국S&P500
-
나스닥100: ACE 미국나스닥100
-
리츠/인컴형 자산: TIGER 미국MSCI리츠, KODEX 미국배당프리미엄
📌 TIP
-
배당 소득까지 통합 관리
-
향후 ETF 매매차익에 대한 과세 강화 시 ISA의 절세 효과는 더 커질 수 있음
✅ 3. ISA와 연금저축, 어떻게 나눠서 투자할까?
구분
|
특징
|
추천 자산
|
ISA 계좌
|
유연성 높고 단기 활용도 가능
|
ETF 단기 매매 or 성장형 ETF
|
연금저축
|
장기전, 노후용 자산 축적
|
TR형 ETF, 안정적 인컴 ETF
|
실전 조합 예시
-
ISA: TIGER 미국나스닥100 + TIGER 미국S&P500 (단기 차익 추구)
-
연금저축: KODEX 미국S&P500TR + 글로벌리츠 (장기 인컴 중심)
✅ 마무리 요약
전략
|
요약 포인트
|
국내 상장 ETF 활용
|
원화 거래, 세금 편의성 ↑
|
연금저축 연계
|
장기 복리 + 세액공제
|
ISA 연계
|
단기 수익 + 절세 가능
|
핵심 ETF
|
S&P500TR, 나스닥100TR, 미국배당/리츠형
|
연금저축과 ISA는 ETF 투자에 있어서 '세제 효율'이라는 날개를 달아주는 도구입니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모은다면 은퇴 후 안정적인 캐시플로우 확보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 아래는 함께 읽으시면 좋은 글입니다. 꼭 읽어보세요.
미국 S&P500 ETF vs 나스닥100 ETF 투자 가이드
728x90
반응형
'마인드tv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쓰기 전, 나에게 던져야 할 한 가지 질문 (2) | 2025.05.30 |
---|---|
글이 안 써질 때, 진짜 이유는 따로 있다 (0) | 2025.05.30 |
[2편] 돈을 피하던 내가 돈과 친해진 방법 (0) | 2025.05.28 |
[1편] 나는 왜 돈을 벌고 싶으면서도 피했을까 (0) | 2025.05.28 |
미국 S&P500 ETF vs 나스닥100 ETF 투자 가이드 (5) | 2025.05.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