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줄거리 핵심
언어학자 루이스 뱅크스(에이미 애덤스)는 미군에 의해 외계인과의 소통을 위해 투입된다. 지구 곳곳에 나타난 12척의 외계 비행선, 그 안의 ‘헵타포드(Heptapod)’와의 언어 교류가 시작되면서 영화는 단순한 SF가 아닌 언어, 시간, 인간의 선택을 탐구하는 철학적 드라마로 확장된다.
루이스는 그들의 원형 문자를 해독하며, 언어가 사고와 시간 인식을 바꾼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결국 그녀는 미래를 보는 능력을 얻게 되고, 딸의 죽음을 알면서도 사랑과 삶을 선택한다.
불편함과 아름다움의 공존
- 불편한 지점 : 외계 침공이라는 설정보다 더 큰 충격은 인간이 언어와 시간의 감옥 속에 살고 있다는 사실이다. 언어가 사고를 제한한다는 점은 관객에게 철학적 불편함을 던진다.
- 아름다운 지점 : 루이스가 미래의 고통을 알면서도 그 길을 선택하는 장면. 이는 인간 존재의 숙명—“알고도 사랑하고, 알고도 살아가는 것”—을 가장 따뜻하게 그려낸다.
드니 빌뇌브의 연출
빌뇌브 감독은 《시카리오》, 《프리즈너스》처럼 현실적 불편함을 다루던 시선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컨택트》에서는 철학과 감정을 동시에 포용하는 SF를 만들어낸다. 묵직한 사운드, 절제된 색감, 그리고 하늘에서 내려오는 거대한 우주선은 “두려움”보다 “경외”에 가깝다.
메시지
《컨택트》는 단순히 “외계와의 첫 접촉” 이야기가 아니다.
- 언어는 사고를 규정한다.
- 시간은 직선이 아니라 원일 수 있다.
- 삶은 결과가 아니라 선택의 누적이다.
그리고 루이스의 마지막 선택은 관객에게 묻는다.
“당신은 미래의 고통을 알면서도, 그 길을 걷겠는가?”
https://www.youtube.com/watch?v=yYyzBN6MeUc
#컨택트 #Arrival #드니빌뇌브 #에이미애덤스 #제레미레너 #SF명작 #언어와시간 #인생선택 #영화칼럼 #인문학적SF
728x90
반응형
'죽기전 봐야할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문: 하늘에 묻는다(한석규,최민식)》 – 세종과 장영실, 하늘을 향한 두 사람의 꿈 (6) | 2025.08.18 |
---|---|
《레볼루셔너리 로드(레오나드로 디카프리오,케이트 윈슬렛)》 – 사랑과 현실 사이에서 무너지는 꿈 (6) | 2025.08.18 |
“불편함의 무게” – 《시카리오》 1편 vs 2편 비교 (2) | 2025.08.16 |
“법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폭력” – 영화 《시카리오(에밀리 블런트,베니치오 델 토로)》 (3) | 2025.08.16 |
“통제할 수 없는 힘, 또 다른 마녀의 등장” – 영화 《마녀 2(주연 김다미, 감독 박훈정》 (3) | 2025.08.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