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자 메이 올컷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은 아씨들》은 시대와 세대를 초월해 사랑받는 이야기다. 2019년 그레타 거윅 감독의 버전은 특히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되어 큰 호평을 받았다. 영화는 남북전쟁 시대 미국 매사추세츠를 배경으로, 가난하지만 서로에게 의지하며 살아가는 마치 가문의 네 자매의 성장과 사랑, 독립을 그려낸다.
네 자매의 개성 넘치는 삶
영화의 중심은 각기 다른 성격과 꿈을 가진 네 자매다.
- 조(시얼샤 로넌): 작가를 꿈꾸며 가부장적 사회에 도전하는 당당한 여성
- 메그(엠마 왓슨): 전통적인 결혼과 가정을 중시하는 현실적인 맏이
- 에이미(플로렌스 퓨): 예술적 재능과 야망을 지닌 막내, 때로는 이기적이지만 진솔하다
- 베스(엘리자 스캔런): 조용하고 따뜻한 영혼을 가진 음악적 소녀
이들의 서로 다른 길은 갈등을 낳지만 동시에 다양성과 선택의 가치를 보여준다.
여성의 독립과 선택의 서사
《작은 아씨들》은 단순한 가정 드라마가 아니다. 특히 조의 서사는 여성의 독립, 자기표현, 경제적 자립이라는 주제를 담아낸다. “결혼이 여자의 유일한 선택지가 아니다”라는 메시지는 19세기뿐 아니라 오늘날에도 깊은 울림을 준다.
감독 그레타 거윅의 시선
거윅 감독은 시간 구조를 교차시키며 원작을 새롭게 해석했다.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네 자매의 성장과 변화를 입체적으로 보여주었고, 특히 결말에서는 ‘작가 조’와 ‘캐릭터 조’를 분리해 여성이 자기 이야기를 스스로 쓸 수 있는 권리를 강조했다.
따뜻한 영상미와 감각적인 연출
영화는 빛과 색감을 활용해 자매들의 성장 과정을 섬세하게 담았다. 따뜻한 과거 장면과 차분한 현재 장면의 색감 대비는 관객으로 하여금 시간의 흐름과 인물의 성장을 체감하게 한다. 또한 알렉상드르 데스플라의 음악은 서정적인 울림을 더했다.
오늘날 다시 읽는 《작은 아씨들》의 의미
이 영화는 단순히 여성의 이야기만이 아니라, 가족의 유대와 개인의 선택, 그리고 삶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메시지를 전한다. “작은 아씨들”이라는 제목처럼, 작지만 결코 보잘것없는 삶이 아니라 자기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여성들의 위대한 여정을 보여준다.
https://www.youtube.com/watch?v=WRW53Scmpv0
#작은아씨들 #LittleWomen #그레타거윅 #시얼샤로넌 #플로렌스퓨 #엠마왓슨 #영화리뷰 #여성서사 #고전명작 #티스토리영화칼럼 #성장영화
'죽기전 봐야할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폭력” – 영화 《시카리오(에밀리 블런트,베니치오 델 토로)》 (0) | 2025.08.16 |
---|---|
“통제할 수 없는 힘, 또 다른 마녀의 등장” – 영화 《마녀 2(주연 김다미, 감독 박훈정》 (0) | 2025.08.16 |
“선과 악의 경계에 선 소녀” – 영화 《마녀(주연 김다미, 감독 박훈정)》 (1) | 2025.08.16 |
“우정의 균열은 언제 시작됐을까” – 영화 《파수꾼(이제훈,박정민,서준영)》 (2) | 2025.08.16 |
“속도 너머의 믿음과 우정, 멧 데이먼, 크리스찬 베일” – 영화 《포드 V 페라리》 (10) | 2025.08.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