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장 박찬욱 감독과 할리우드 스타 이병헌 배우가 25년 만에 다시 뭉쳤다. 신작 《어쩔수가없다》로 돌아온 두 사람의 소식은 단순히 영화 개봉 소식이 아니라, 우리에게 묵직한 감동을 던진다.
둘의 첫 만남은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였다. 당시 상황을 떠올려보면 믿기 어려울 정도다. 박찬욱 감독은 이미 두 번의 실패를 맛본 상태였고, 이병헌 배우 역시 흥행에서 고전하며 배우 인생의 갈림길에 서 있었다. 하지만 두 사람은 서로에게 의지가 되었고, 결국 《JSA》는 엄청난 흥행을 기록하며 한국 영화사에 길이 남는 작품이 되었다.
25년이 흐른 지금, 두 사람은 거장과 대배우가 되어 다시 만났다. 세상은 그들을 “성공한 이들”로 부르지만, 그 뒤에는 무수한 실패와 불안, 그리고 서로에 대한 믿음이 있었다. 이들의 재회가 감동적인 이유는 바로 여기 있다.
우리가 흔히 놓치기 쉬운 진실이 있다. 실패가 끝이 아니라는 점이다. 실패라는 상처는 시간이 지나면 성공의 흔적으로 남는다. 박찬욱과 이병헌도 그렇다. 한때는 ‘망한 감독’, ‘망한 배우’였지만, 지금은 세계가 주목하는 예술가로 우뚝 섰다. 결국 시간이 모든 걸 드러낸다.
또 하나 눈여겨볼 점은 동반자의 힘이다. 누구나 혼자 버티는 듯 보이지만, 사실은 곁을 지탱해주는 이가 있기 마련이다. 서로를 믿고, 함께 실패를 감당한 덕분에 오늘의 자리에 설 수 있었다. 이병헌은 박찬욱 감독을 두고 “기댈 수 있는 사람”이라 말한 적이 있다. 단순한 감독과 배우 이상의 관계, 동반자라는 이름이 더 어울린다.
이 이야기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교훈은 분명하다.
첫째, 지금의 실패가 인생의 끝이 아니다. 시간이 지나면 실패는 힘이 된다.
둘째, 삶을 함께 버텨줄 동반자가 있다면 우리는 더 멀리 갈 수 있다.
셋째, 결국 성공이란 혼자 쌓아 올린 탑이 아니라, 신뢰와 믿음 위에 세워진 다리다.
박찬욱과 이병헌의 재회는 단순한 영화 소식이 아니다. 그것은 “포기하지 말라, 믿음을 잃지 말라”는 인생의 메시지다. 우리 역시 언젠가 지금의 실패를 딛고 새로운 무대에 설 수 있음을, 두 사람은 몸소 보여주고 있다.
'마인드tv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생회복 지원금 2차 제외, 그러나 웃을 수 있었다 (1) | 2025.09.25 |
---|---|
한국 영화가 바라본 남북 분단의 서사, 《공동경비구역 JSA(박찬욱)》, 《강철비(양우석)》 (0) | 2025.09.25 |
김민석 국무총리, 블룸버그 통신 인터뷰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의미 있는 미국 투자는 불가능하다” (0) | 2025.09.25 |
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재판 11회 연속 불출석하며 궐석(결석) 상태로 재판 진행 (0) | 2025.09.25 |
돈을 많이 벌고 싶다는 욕심이 없는 사람 (0) | 2025.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