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그건 나중에 생각할 문제죠.”
“노후? 지금도 빠듯한데 어떻게 준비해요.”
요즘 20~30대, 이른바 MZ세대가 가장 많이 하는 말입니다. 하지만 지금 이대로 간다면, 우리는 ‘가난한 노후’가 아닌 ‘고립된 노후’를 맞이할지도 모릅니다.
1. 젊다고 노후가 멀지 않다
대한민국의 평균 수명은 84세를 넘었고, 앞으로 100세 시대는 현실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직장 정년은 여전히 60세 전후에 그칩니다. 즉, 최소 30~40년을 무소득 또는 저소득 상태로 살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문제는 지금의 젊은 세대가 이 긴 시간을 준비할 경제적·심리적 체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데 있습니다.
2. 연금 시스템, 믿을 수 있는가?
대한민국은 초고령화 시대에 들어갔습니다. 전체 국민 중 20% 이상 65세 노인이라는 뜻입니다. 공적 연금은 이미 경고음을 울리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2055년경 고갈 가능성이 있다는 정부 보고서도 있습니다. 물론 고갈 이후에도 연금은 '어느 정도' 지급되겠지만, 지금처럼 안정적인 지급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개인연금이나 퇴직연금은 어떨까요? 대부분의 2030세대는 아직 회사 내 퇴직연금도 제대로 정립되지 않았고, 개인적으로 연금저축을 드는 비율도 낮습니다. 즉, 국민연금, 퇴직연금 그리고 개인연금이라 불리는 연금 삼각축 중 어느 것도 튼튼하지 않은 셈입니다.
3. 자산 격차, 이미 벌어졌다
2020년 이후 급등한 부동산과 주식 시장에서 많은 젊은 세대는 ‘영끌’이나 ‘빚투’로 투자에 뛰어들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단순히 투자 여부가 아니라 타이밍입니다.
부동산은 이미 진입 장벽이 높고, 주식은 단타나 코인 위주로 진입하는 경우가 많으며, ETF나 장기 복리의 개념은 여전히 낯선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자산을 가진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간 격차는 더 벌어지고 있습니다. 10년, 20년 뒤엔 지금보다 훨씬 더 '계층 이동'이 어려운 사회가 될 수 있습니다.
4. 노후 준비는 돈만의 문제가 아니다
노후 준비는 단지 ‘얼마를 모았는가’의 문제가 아닙니다.
오히려 진짜 중요한 건 세 가지입니다.
① 생활비보다 오래 살아남을 수 있는 시스템
② 의미 있는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환경
③ 심리적·사회적 고립을 피할 수 있는 연결성
지금 젊은 세대는 이 세 가지 모두에서 취약합니다. 직장은 불안정하고, 인간관계는 좁아지고, 관심은 현재 생존에만 쏠려 있기 때문입니다.
5. 지금부터 바꿀 수 있는 5가지 실천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막막해 보여도, 지금부터 작게 시작하면 분명히 다릅니다.
① 월 3만 원부터 ETF 자동투자 시작하기
미국 ETF, 글로벌 반도체, S&P500 등 장기 성장 자산에 소액이라도 매달 투자하세요. 복리는 “작게 오래 하는 사람”의 편입니다.
② 연금저축펀드 개설 후, 매달 5만 원이라도 납입하기
세액공제도 받고, 은퇴 자산도 쌓을 수 있는 현명한 선택입니다.
③ 자기만의 노후 루틴 만들기
주말마다 걷기, 글쓰기, 강의 듣기 같은 일상을 유지하는 루틴은 나중에 ‘은퇴 후 일상’을 구성할 핵심 자원이 됩니다.
④ 친구보다 콘텐츠 만들기
유튜브, 블로그, 전자책 등 시간을 자산화하는 루틴을 하나 만들어보세요. 노후는 돈보다 ‘쓸모 있는 나’로 살아갈 수 있는가의 싸움입니다.
⑤ 노후를 함께 준비할 사람들과 느슨한 연대 만들기
혼자 준비하면 무섭습니다. 관심사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투자 스터디, 글쓰기 모임 같은 ‘지속 가능한 느슨한 연대’는 심리적 자산입니다.
6. 마무리하며
늙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준비 없는 노후는 재앙입니다. 노후는 누구에게나 옵니다. 하지만 어떻게 맞이하느냐는 전적으로 지금 우리의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지금 돈이 없어도 괜찮습니다. 준비가 조금 늦었어도 늦지 않았습니다. 중요한 건 습관과 방향성, 그리고 심리적으로 무너지지 않는 자세입니다. ‘불안한 노후’는 더 이상 미래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지금부터 준비하지 않으면, 그 노후는 '생존'조차 장담할 수 없는 시간이 될지도 모릅니다. 그러니, 오늘. 작게라도 한 걸음, 시작해보세요.
“당신은 매달 ‘노후를 위해’ 무엇을 하고 있나요?”
“10년 후의 나를 위해, 오늘 바꿀 수 있는 한 가지는 무엇인가요?”
'마인드tv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대통령이 밝힌 3가지 약속, 국민은 무엇을 기대해야 할까? (0) | 2025.06.05 |
---|---|
2025년 이재명 대통령 당선 후, 앞으로 미래 직업 세계는 어떻게 바뀔까? (3) | 2025.06.05 |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이대로 가면 한국 정치는 갈라파고스 된다? (3) | 2025.06.04 |
이재명 대통령 당선 이후 이재명 정부의 내각 구성은 어떻게 될까? (4) | 2025.06.04 |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개인 투자자가 주목해야 할 주식 투자 트렌드 (5) | 2025.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