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연금소득 과세 규정 (2025년 기준, 한국)
1. 과세되는 연금소득의 종류
-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 퇴직연금(IRP·연금저축에서 받는 연금) 등이 포함됩니다.
- 단, 개인이 드는 변액연금보험·즉시연금 등은 과세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2. 분리과세와 종합과세 기준
- 연금소득은 원칙적으로 분리과세(기본세율 3~5% 수준)가 적용됩니다.
- 하지만 일정 금액을 초과하면 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
👉 기준:
- 연 1,500만 원 이하: 분리과세 선택 가능
- 연 1,500만 원 초과: 분리과세와 종합과세 중 선택 가능
3. 1,500만 원 초과 시 과세 방식과 선택지
① 종합과세: 다른 소득과 합산, 누진세율(6.6~49.5%) 적용
② 분리과세 선택: 연금소득에 대해 16.5% 단일 세율 적용
예를 들어, 부부가 연금 총액 3,000만 원을 받는 경우, 한 사람만 전액 수령하면 종합과세 대상이 될 수 있지만, 배우자와 나눠서 각각 1,500만 원씩 수령하면 저율 분리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4. 요약 정리
- 연 1,500만 원 이하이면 → 연령별 세율(3.3~5.5%)로 분리과세, 종합소득세 대상 아님.
- 연 1,500만 원 초과 시 → 종합과세 또는 16.5% 분리과세 중 선택 가능.
728x90
반응형
'마인드tv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QQQ vs QQQM? 미국 ETF 차이가 뭔가요? (0) | 2025.09.16 |
---|---|
미국 직투에 유리한 국내 증권사는 어디일까? (1) | 2025.09.16 |
AI 시장은 빅테크, 반도체, 전력인프라, 다음은 소프트웨어인가? (1) | 2025.09.16 |
AI 시장, 이제 소프트웨어의 시대가 온다 (0) | 2025.09.16 |
키움증권에서 매매하고 삼성증권에서 장기투자하라고 추천하는 이유 (2) | 2025.09.16 |
댓글